AD

대감의 한복합방 강의 내용 정리

제럴드포드
2023-09-18 18:57:16 223 0 0


한복의 큰 특징


1. 동정, 깃 고름의 존재

2. 평면의 옷



[여성]

- 저고리 -


구성요소 명칭

동정 : 깃 위의 하얀 부분


깃 : 동정을 감싸고 있는 것

원래대로면 바느질 부분으로 경계가 지어진다




마끼야또 : 소저의 옷은?

향아치 : 자유로운 한복이다


(겉)고름 : 묶여있는 부분을 고름이라 부른다 / 고름은 매듭이 아니다


소매 : 팔이 들어가는 부분

형태에 따라 조선 초 중 후 인지 비교 가능


곁마기 : 겨드랑이 부분(너무 깊게 들어가서 생략)


끝동 : 소매(수구手口) 손이 나오는 부분


고름

고름의 색이 다르다? - 겉감 안감이 다르다



곁고름

묶을 때 두개의 천을 쓰는데 안감의 색으로 묶으면 두 개의 색으로 표현이 가능하다

겉감을 밖으로 안감을 안으로 또는 그 반대로의 색도 가능하다



속고름 : 보여져선 안되나 저고리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노출이 되어짐

좌1 우1 매듭이 두번 지어짐

보여저선 안되는 부분


속고름 노출 여부에 따라 시기별구분이 가능함

예시) 고려 말 조선 초 : 속고름 노출 X


반회장 삼회장


화장 : 깃 끝동 곁마기


반화장 : 깃 고름 끝동이 다른 (색)원단으로 사용

삼회장 : 깃 고름 끝동 곁마기이 다른 (색)원단으로 사용 (중요한 날, 더 꾸미기 위해 사용)





- 치마 -

(바지는 오랑캐, 치마는 문명인의 것이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다)



1900년대까지는 어깨에 거는 끈이 없었다

저고리 같은 형태 1910년 이화학당 선교사가 개량하여 학도들에게 제공


말기(치마허리) : 중요****


치마 아래가 넓음 - 조선 초기

치마 중간 통이 넓음 - 조선 후기



{예장 속곳} - 중요 행사 또는 왕실, 사가

치마저고리

대슘치마

무기지치마


(상놈도 입는 보통의 영역)

속저고리

단속곳

속적삼 - 저고리 형태의 속곳(겉옷일 수록 두껍고 세탁이 힘들어 땀 흡수용?)

바지 (여름 - 고쟁이)

속속곳



갖춤옷 -

치마가 볼록한 것은 안에 겹겹이 입음으로 인해 나온 것이다



남바위

여성들이 머리에 쓰는 것





[남성]

도포


두루마기 도포 차이 - 무, 뒷길 의 차이

(옆이 트여있는가 안 트여있는가)

두루마기 : 두루 막는다(트임이 없는 옷, 통짜)

도포 : 뒷길이 열려있고 전삼이 있다



두루마기, 도포 입는 이유?

트임으로 시원한가? X

어떤 재질(직물)로 만들어서 시원한가? O

어떤 상황에 따라 입는 것인가? O


점선부분 : 한번 더 덧대진 부분


(옷감 색이 더 짙다, 수구와 겨드랑이 부분이 더 잘 보인다)

참고자료 : 영조대왕 도포


겉과 안에 무엇을 입느냐에 따라 색이 섞여 다른 색으로 만들어짐

(여러겹으로 입는 한복이라 가능한 일)


화장 : 목 안쪽 수직의 선 부터 수구까지

(평면 옷이기 때문에 화장의 길이가 중요)



조선의 아름다움(사치)은 눈치보는 아름다움이다

(꾸민듯 안꾸민듯)



깃의 모양은 시대와 목적에 따라 다르다

(원래 깃은 안보이는 부분이다)

직령깃 : 곧을 直 Y자형

단령깃 : 관복에서 쓰인다 (대감이 입은 관복의 깃은 단령깃이다)


단령의 패임에 따라 시대를 구분이 가능하다

패임이 얕으면 조선 초

깊으면 조선 후기 대한제국


방령깃 : 답호(경복궁 수문장)

시대적 흐름에 영향이 없다(유행을 타지 않음)


맞깃 : 깃이 맞닿아서 맞깃이다

목판깃 : 고려 말 - 조선 초 (경복궁 한복체험의 한복 대부분이 목판깃, 만들기 쉽다고...)

당코깃 : (당코 : 버선의 옆모습) 조선 후기

반월깃 : 말린 느낌

칼깃 : 쭉 빠진 느낌

동그래깃 : 대한제국 시기



{꾸미고 꾸미고 꾸미고의 최종은 순정이다}



관복 고름관련


고름 고리가 곧으면 조선 초기

고리가 누워있으면 조선 후기

곁고름 여부

곁고름 없음 - 조선초기

곁고름 있음 - 조선후기


관복의 동정은 보통 고정되어있지 않고

오른쪽 어깨 쪽에 매듭과 고리가 있어 입을 때 고리를 매듭에 걸어둔다


탕건 : 갓 쓰기 전 탕건을 쓴다(탕건이 없으면 갓이 흘러내린다)

망건 : 갓이 머리에서 버티게 하는 것

풍잠 : 갓이 바람에 넘어가지 않게 고정하는 장신구



갓끈에 따른 시대구분


천으로 된 부분 - 건영

구슬 호박끈 - 패영

- 턱에 닿을 만큼 짧음(조선초기)

- 패영이 길다(조선후기)

건영이나 패영 둘 중 하나만 썼을 것으로 보인다(문관)



건영 패영 둘 다 사용(무관) - 패영이 끊어지는 경우가 있음

[영조대왕 온천기록에 건영 패영을 둘 다 착용하는 유행이 돌기 시작한다는 기록이 있음]


S자 형으로 패영을 거는 장치가 있다




신발 관련

흑피화

코 부분이 조선 후기에 갈 수록 높이가 낮아진다



동다리

두루마기랑은 다르게 트여있다


전복

동다리 위에 입는 것



전대

전복을 잡아주는 역할


병부주머니

전대에 달린 지휘관 식별용

끝에는 군령이 들어있다



광다회

무기를 달기 위한 끈(환도, 활)






[옷깃]

배래 : 소매 아랫부분



직배래 - 다른 배래에 비해 간단하고 활동성이 좋음

칼배래 - 직배래에서 옷감을 더 늘린 형태(+사치 살짝 추가)

붕어배래 - 붕어 배 처럼 생겼다 하여 붕어배래




진동선과 배래에 따라 달라진다

진동선 : 겨드랑이에서 겨드랑이 그 사이 가슴이 닿는 부분


배래와 진동선의 차이가 거의 없음

(착수형: 소매가 넓지 않음)

조선 초, (국태공 / 흥선군 때 다시)

통수형1

통수형2





콩깍지형 조선 중기

콩깍지1

콩깍지2




배래와 진동산의 높이 차가 큼

(광수형 : 소매가 넓음)

두리 : 겨드랑이 파인부분에서 수직으로 있는 부분

조선 후기

두리소매형1

두리소매형2


여담


조선에서 국호로 바꾸려고 했으나

대조선은 이미 있었고(고조선)

대한 이라는 말을 사용했는데 한(韓)은 한 민족이라는 뜻이 있다

한복은 조선에 국한된 옷을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한 민족이라는 뿌리에서부터 지금까지 내려오면서 발전한 모든 옷을 얘기한다

(대조선 고구려 백제 신라 발해 통일신라 후삼국 고려 조선으로 내려오면서 이어져온 모든 옷들이 한복이다)




고구려때 바지가 발전함 이것이 내려져 와

중국 일본과는 달리 특징으로 발전함





(대감 마지막에 초상화에 매수...읍읍)


- 追律 -

출처 : 대감의 한복합방 내용정리




후원댓글 0
댓글 0개  
이전 댓글 더 보기
이 글에 댓글을 달 권한이 없습니다. 로그인해 보세요.
▲윗글 논어 위령공 편 中 제럴드포드
▼아랫글 덕을 칭송하다 제럴드포드
0
12-15
3
광야
제럴드포드
12-10
3
삼각산아...
제럴드포드
12-08
2
가시리
제럴드포드
12-06
3
12-06
1
집이 무너지다
제럴드포드
12-06
0
11.09 600일
제럴드포드
11-10
0
대감님에게 [1]
samsik0002
10-16
0
子曰
제럴드포드
10-14
1
10-09
0
10-04
0
개천절
제럴드포드
10-03
0
09-29
1
중용 23장 치곡
제럴드포드
09-28
2
09-25
0
09-23
1
09-19
0
덕을 칭송하다
제럴드포드
09-15
0
09-10
인기글 글 쓰기